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6 최저임금
    2026 최저임금

    2026년 최저시급이 올해(2025년)보다 2.9% 인상되어 시간당 1만 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290원 오른 수준으로, 월 기준(209시간 근무 시) 약 2,156,880원에 해당합니다. 특히 이번 결정은 2008년 이후 17년 만에 **노·사·공익위원의 합의**로 이루어진 의의가 있으며, 1988년 제도 도입 이후 통산 **8번째 합의 사례**입니다.

     

     

     

    ✅ 2026 최저시급

     

    2026년 최저시급은 시간당 **1만 320원**, 이는 2025년 시급 1만 30원보다 290원(2.9%) 오른 금액입니다. 이 인상률은 최근 첫 적용 연도 기준으로는 **가장 낮은 수준**으로 평가됩니다(1998년 김대중 정부 2.7% 다음으로 낮음) 

     

    월 급여로 환산하면 주 40시간·월 209시간 기준 약 **215만 6,880원**이며, 연령·경력 등에 따른 차등 없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026 최저시급2026 최저시급2026 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

    ✅ 2026 최저시급 실수령액

     

    구분 2025년 2026년 증감액 인상률
    시간급 10,030원 10,320원 +290원 +2.9%
    주 환산액 (40h) 401,200원 412,800원 +11,600원 +2.9%
    월 환산액 (209h) 2,097,270원 2,156,880원 +59,610원 +2.9%
    ※ 월 환산액 = 시간급 × 월 총노동시간(209시간)

     

    2026 최저시급

     

     

     

     

     

    ✅ 적용 기간

     

     

    최저시급은 신청 절차가 별도로 필요한 복지금여가 아니라, 고용노동부가 법률에 따라 매년 고시하는 제도입니다. 즉, 노동자가 별도 신고 없이도 자동으로 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기업이나 사업주는 고용노동부 고시 이후 이를 근로자에게 반드시 적용해야 하며, 209시간 기준 월 환산액은 215만 6,880원입니다. 위반 시 최저임금법에 따른 제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이의가 있는 경우, 사업주 또는 이해관계자는 고시 후 약 한 달 안에 고용노동부에 이의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심의가 합당하다고 판단되면 재심의를 요청할 수 있지만, 과거 사례에서는 이의 제기 후 재심의가 실제로 진행된 적은 없습니다.

    2026 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



    ✅ 대상 조건

     

    2026년 적용 최저시급은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즉, 상용직, 일용직, 아르바이트, 파트타임 노동자 모두 시간당 **1만 320원**이 적용됩니다. 다만 일정한 직종이나 특수근로자에 한해 법령 또는 행정해석상 예외 조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법에 따라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에는 ◇ 농어촌 지역 소규모 사업장 ◇ 외국인 계절근로자 ◇ 단기 비전형 근로자 등이 있으며, 구체적인 예외 조건은 고용노동부 지침을 참고해야 합니다.

     

    분류/유형 기준/조건 지원 내용
    상용·일용·단시간 근로자 전 근로자 동일 적용 시간당 1만 320원
    주 40시간 기준 월 환산 월 209시간 근무 기준 월 209만 270원
    소규모 농어촌 사업장 일정 규모 이하 사업장 적용 제외 가능성 있음
    외국인 계절근로자 등 단기·특수 조건 법령상 예외 가능
    표결 반대 노동자 민주노총 일부 위원 불참 합의는 유지

    2026 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



    ✅ 확인 방법

     

     

    신청 절차는 없지만, 최저임금 고시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공지사항 또는 최저임금 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는 본인의 임금 명세서에서 시급이 **1만 320원**인지 확인하고, 법정 최저임금보다 적게 지급되었다면 고용센터에 문의하거나 신고할 수 있습니다.

     

    사업주는 내부 급여 시스템에 반영되었는지 점검하고, 위반사항이 없는지 자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6 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

    ✅ Q&A

     

    Q1. 민주노총이 회의에서 빠졌는데 합의가 유효한가요?
    2025년 7월 10일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제12차 전원회의에서 민주노총 소속 근로자위원 4명이 중도 탈퇴했으나, 한국노총 등 다른 근로자위원과 사용자, 공익위원의 합의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합의는 유효합니다.

     

    Q2. 이번 인상률이 매우 낮다고 하는데 이유는?
    이번 인상률 2.9%는 물가 상승률 대비 낮은 수준이며, 역대 정부 첫해 인상률 중에서는 김대중 정부(2.7%)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Q3. 앞으로 더 인상 가능성은 없는 건가요?
    고용노동부 고시 이후 법률적으로 이의 신청이 가능하며, 재심의가 요청될 경우 해당 연도 최저임금이 조정될 수 있으나, 실제로 재심의가 이루어진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반응형